사진이야기2016. 9. 3. 18:04

80년대 CGA 혹은 모노크롬 시절에는 14인치 15인치 정도의 CRT 모니터면 훌륭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이제는 개인용 데스크탑에서도 30인치 이상의 모니터들을 쓰고 있죠. 4K니 5K니 하면서 해상도도 더 높아진 것들을 쓰고 있습니다. 인간의 눈이 광학적인 부분 뿐만아니라 감성적 분해능까지 가지고 있어서 실제로는 300dpi 이상까지도 구분할 수 있다고 하는데(실제로 1000dpi로 인쇄된 활자와 2000dpi로 인쇄된 활자의 차이를 육안으로도 느낄 수 있지요) 애플이 '레티나'라는 이름까지 붙여가면서 '이 정도면 충분함'이라고 선언한 해상도 혹은 그보다 조금 더 세밀한 집적도를 가진 모니터들이 나오면 그 이후에는 뭔가 다른 걸로 더 승부를 보려고 하겠죠.

40인치, 400dpi 정도면 대략 16,000 픽셀 정도의 모니터가 나와야 합니다. 세로로는 25인치쯤 될 테니까 9천에서 1만픽셀 정도 되겠네요. 그러면 가로세로 곱해서 대략 1억6천만화소 정도가 됩니다.

이 얘기를 왜 하느냐면, 디지털카메라의 화소경쟁이 어디까지 갈 것인가를 예측해보려구요.

하이엔드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렌즈교환식 SLR 혹은 미러리스(중형포맷 포함)의 최대 유효화소 기종들이 5천만화소쯤까지 왔더군요. 이 정도만 해도 대단하기는 한데, 1만6천x1만 픽셀의 모니터에서는 100%로 표시해도 화면의 1/3 정도도 못 채웁니다. 실제로는 크롭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고려해야 하니까, 촬영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사이즈는 모니터의 유효 픽셀 수보다 더 커야겠죠.

모니터가 1억6천만화소라면 이미지는 2억화소 정도는 필요할 겁니다. 이쯤이면, 40x60인치의 프린트를 실제 300dpi로 뽑는 데 필요한 12,000x18,000 픽셀의 이미지가 실제 물리적으로 뻥튀기를 거치지 않고도 1:1로 존재하게 되는 셈이죠.

이런 이미지의 비트맵 사이즈는 12,000x18,000x48비트 = 12억9천6백만 바이트, 한 컷당 1.2GB가 넘는군요. 물론 효율적으로 압축하고 풀어내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지만 그러려면 또 전송속도, 저장공간과 어마어마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할 겁니다.

아직도 한참 더 발전해야 한다는 얘기가 되네요. 그런데 언젠가 드디어 일단 저만큼 다 발전하고 나면..

그 뒤에는 뭐가 있을까요. 그건 조금 궁금하기는 합니다.

그 때까지 살 수는 있을까 모르겠네요.


Posted by 이루"
자전거이야기2016. 4. 10. 21:29


 

경량화도 아무 생각 없이 하는 게 아니라 대충 가능한 타겟을 설정하고 진행하는 건데, 프레임 자체가 경량이 아니고서는 4키로대 진입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미리 계산해봐도 알 수 있다.


프로토스 프레임은 제조사 클레임으로 800그램이라고 돼 있지만 실측해보면 47(제일 작은)사이즈로도 1150그램이나 나간다. 물론 피나렐로나 콜나고를 비롯한 이태리산 프레임들이 다 그렇다고들 하지만 꽤 욕이 나오는 수준.


이 프레임으로 가능한 리밋을 계산해보면 5키로대 초반이 나온다. 물론 실용적 한계까지 무시하고 튜닝된 부품들을 사용하면 더 뺄 수 있지만 실제 60키로 체중을 가진 사람이 무리없는 주행이 실사용이 가능한 구성으로는 이 정도가 한계. 뭐 물론 그래도 지금보다야 600그램 정도 더 경량화가 가능한 거지만 앞자리 안 바뀌면 무슨 소용..


페달을 Aero로 바꾸고 레버나 드레일러, 스프라켓, 케이지, 큐알, 체인.. 그리고 소소하게 갈아내고 깎아내고 애쓰면 4가 되긴 하겠지만 넘나 비실용적. 지금 이 스펙토 투포 엘리트젯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니 그걸로 자출할 것도 아니고..


결론: 경량화는 경량 프레임으로 시작하자.


추론: 가벼워봐야 들바만 쉽다.


Posted by 이루"
자전거이야기2016. 2. 27. 22:05

신형 4암짜리 말구요, 구형 5암짜리..


슈퍼레코드 크랭크셋 170mm 컴팩트, 50-34 실측:


크로몰리 스핀들: 628그램

티탄 스핀들: 578그램


이러네요. 50그램 정도 차이나는 듯.




Posted by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