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야기2012. 3. 3. 16:56
얼마전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신청을 낸 코닥이 2012년 3월 1일부로 자사의 유명한 슬라이드필름인 E100G와 E100VS의 생산을 종료한다고 공지했습니다.

http://www.kodak.com/global/en/professional/products/colorReversalIndex.jhtml?pq-path=1229&ClickID=a5s9apwtvnv5vwkpy0lnnwk0nazn9nr5vsss 

 
코닥은 과거에 참 많은 종류의 슬라이드필름들을 생산하고 판매해왔지만 2000년대 후반 들어 하나씩 하나씩 생산을 종료시키더니 이제는 급기야 그래도 가장 잘 팔리고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두 필름까지 그만 만들겠다고, 필름사진 애호가들을 멘붕시킬만한 발표를 냈습니다.

E100G와 E100VS, 그리고 엘리트크롬까지니까, 코닥은 '이제 슬라이드는 안 만들어'라고 선언한 건데요. 파산보호신청 이후 '디지털카메라와 관련된 삽질은 중단하고 전통적인 아날로그쪽에 집중하겠다'라고 발표해놓고는 뒤통수를 치는 셈이 됐습니다.

여기까지만 읽으시면 아마 정말 멘붕이실텐데..

제 나름의 분석을 첨부해보겠습니다.

----------------------


2007년도에 후지필름은 갑자기 '벨비아를 단종시킵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당시 다들 으악, 했죠. 벨비아를 안 만든다니.. 한탄과 비탄에 빠진 사람들은 벨비아를 냉장고에 채우기 시작했습니다. 유통단계에 있던 벨비아들은 가능한 많이 사두고 오래오래 찍으려던 사진가들의 냉장고 속으로 잔뜩 사재기되어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몇 달 후 후지는 공지를 통해 '유제를 바꿔 더욱 좋아진 벨비아II가 새로 나왔습니다'라는 발표를 내고 RVP50이라는 새 필름을 발매했습니다. 환경규제때문에 유해물질을 줄이고 이런저런 것들을 개선한 새 필름이라면서,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잘 팔더군요. 필름의 특성도 더 좋으면 좋았지 나쁘지 않았습니다. -_-

 2010년에 코닥은 이전의 대표적인 프로페셔널 컬러네거티브 필름인 포트라 계열의 VC와 NC를 단종시키고 뉴 포트라를 발매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이 깔끔하질 못했습니다. 뉴 포트라를 발매한다고 공지를 먼저 띄웠는데, VC와 NC의 재고가 상당히 많았거든요. VCNC와 뉴 포트라는 시장에서 혼재하기에 이르렀고, 한국같은 경우는 시장에 아직도 VCNC 재고가 많아서 심지어는 뉴 포트라의 발매 자체가 늦어지기도 했습니다. 

필름을 리뉴얼하면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후속필름이 나온다는 걸 알리는 것 못지 않게 기존 필름들의 재고를 떨어내는 것이겠죠. 필름은 유효기간이 있기때문에 안 팔리고 계속 가지고 있다가는 못 팔거나 손해를 보게 마련입니다. 

이제는 필름사진이 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보편적 수단이라기보다는 좀더 좋은 즐길거리, 좀더 아날로그적인 추구를 위한 고급이거나 혹은 고상한 취미 혹은 작업의 도구가 된 마당에, 코닥이 나름 고부가가치인 값비싼 슬라이드필름의 생산과 판매를 헌신짝처럼 버릴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오래도록 같은 원료와 방식으로 생산해 온 Ektarchrome 계열의 필름들을 그만 만들고, 더 값싸고 확보하기 쉬우며 품질도 좋은 원료를 이용해서 원가가 절감된 새로운 필름을 생산해서, 기존 필름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팔아 수익성을 높이는 방향의 전략일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새로 뭐가 나올거다 기다려라'라는 얘기는 한 마디도 없이 '재고는 6개월 정도 갈거다'라고만 알리는 건(우리는 실제 재고가 얼마인지, 판매량이 얼마인지도 모르잖아요?) 포트라에서의 경험을 교훈삼아 시장재고의 컨트롤을 위한 소비자심리 자극 테크인 거 같구요.

그래서 저는.. 두세 종류의 새로운 슬라이드필름을 기대해봅니다.

제 추측이 맞을지 틀릴지는 몇 달 걸리겠죠. 물론 코닥이 안 만들더라도 다른 데에서 더 나오겠습니다만.



아니면 말구요, 라고 하기엔 슬라이드필름의 시장수요는 불보듯 뻔한데 그냥 안팔아, 하는 건 절대 아니라는 확신이 너무 강하네요.


기대해봅시다, 여러분.

 ---------------

이렇게 적어놓고 업계 분들 몇몇을 만나 이런 저런 얘기와 소식을 묻고 전해들었는데, 일단 들리는 바로는 코닥이 정말 슬라이드필름이라는 제품군 자체를 없애려고 하는 게 맞을지도 모른다는 거네요.

이유는 '수요부족'이라고 합니다.

어이없지만 진짜일지도 모릅니다.


코닥, 니네 그러니깐 망했지.
 
Posted by 이루"
사진이야기2012. 2. 25. 10:08
몇 년 전까지는 대형 할인점 코스트코의 전 지점에서 하는 사진 관련 서비스에 필름 현상도 있어서, 쇼핑하시는 분들이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하곤 했습니다.

사실 사진 관련 서비스는 코스트코의 입장에서는 수익을 남기기보다는, 사진을 맡기고 그 사진이 나오는 동안 쇼핑을 하도록 만드는, 혹은 사진을 뽑으러 방문하면 쇼핑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구실을 담당하는 서비스입니다. 맡겨놓고 한 시간, 혹은 쇼핑하는 동안 처리되어서 결과물을 받아갈 수 있는 종류의 서비스는 사진 이외에 또 뭐가 있을까요.

그러다가 필름 의뢰량도 적어지고 하더니 장비들도 고장나거나 문제가 생기고 했는지, 하나둘 필름 현상장비를 뺐는지, 한두 곳만 남기고는 필름 현상과 스캔 서비스를 접었었습니다. 그러고는 아마도 꽤 오래 지난 것 같은데..

장비가 수리되었는지, 요며칠 코스트코 일산점에서 서비스를 재개한다고 그동안의 이용객들에게 전화를 돌렸다고 하네요.

코스트코의 필름현상스캔 서비스는 아마도 변동이 없다면 컬러네거티브필름 1롤당 1,500원일 겁니다. 슬라이드나 흑백 또는 중형필름같은 서비스는 되지 않습니다. 아마도 3만5천원쯤 하는 연간회비를 납부한 회원카드가 있어야 하고, 비교적 가까운 곳에 거주하지 않는다면 일부러 찾아가기에는 좀 많이 부담스러울 겁니다.

그곳에서 하는 서비스의 목적이나 품질이나 방식이나 혹은 어떤 이들이 종사하는지와 같은 분석은 의미없으므로 하지 않습니다. 다만 '롤당 1500원'은 말하자면 라면 전문점에서 '끓인 라면 한 그릇에 500원'하는 가격과 비슷한 정도라는 걸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그것 자체로 파격이고 의미있다는 거죠.


솔직히 말하면, 저는 반갑습니다.


뭔가 사라지지 않고 생겨나는 거, 그게 실용적이라기보단 상징적이라고 해도 말입니다.

 
필름사진 많이 찍으세요. ^__^

 
Posted by 이루"
자전거이야기2012. 2. 22. 13:21


법이야 어떻든, 현실에 어려운 점이 많으니 사실 자전거타고 차도에 나와 타는 게 위험한 건 맞습니다.
위험한 원인은 도로 및 인프라 상황과 여건, 자동차 및 자전거 운전자들의 인식과 문화, 그리고 법규 미비 등
상당히 복합적입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아직은 멀었다'라고 해야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도로에서 다반사로 일어나는 위협 난폭운전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경험담 얘기해드릴게요.



저는 자출코스가 그냥 시내도로밖에 없어서 차들과 함께 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가장자리로 요령있게 다니고, 차들이 추월하기 좋게 양보도 잘 하면서 다니죠.

3년 넘게 다니면서 자출 과정 자체로 사고가 나거나 한 적은 없습니다.

법규를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법규 못지 않게 요령도 중요합니다.
왜냐면.. 현실은 법대로가 아니라서요. 법으론 자전거도 차도로 다녀라, 라고 돼 있지만
실제 차도에 나가보면 차도를 달리는 자전거를 눈엣가시로 여기는 운전자들이 많으니까요.

작년 여름이었는데, 출근중에 사건이 있었어요. 홍제천에서 올라와 유진상가로 가는 길에는
시범적(-_-)으로 자전거도로가 만들어져 있고 분리대로 구분돼 있습니다. 근데 실상은 보행자가
더 많아요.(우리나라에 '자전거전용도로'라는 건 없습니다)

그냥 차도로 다니는 데 익숙하기때문에 굳이 그 자전거도로로 들어가지 않고 차도로 달려서 의주로로
들어간 다음 시내로 오는데, 그날은 마을버스가 옆으로 밀더군요.

차도 다녀보신 분은 알겠지만.. 은근히 밀거나 방해하거나 혹은 대놓고 밀거나 위협하는 경우를
다들 겪어보실 겁니다. 이게 진심인지 아니면 운전하면서 자연히 있을 수 있는 상황인지 직감이 오죠.

뭐 익숙(-_-)한 상황이라 당황하지 않고 따라가서 정류장에 정차한 기사한테 왜 그러셨냐고 물었죠.
그랬더니 '뭘?' 그러더군요. . 길게 얘기해봤자 필요없을 거 같고.. 버스를 폰카로 찍었어요.

번호판, 그리고 번호판과 운전자 나오게 담으면 끝. 이건 나중에 증거물로 쓸 수 있습니다.
신고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재빨리 현장 떴습니다. 거기서 시비해봐야 시간만 낭비하고 열만 받거든요.

출근한 다음에 신고전화를 돌렸습니다.

일반적인 민원들에 대해서는 다산콜센터(국번없이 120)를 이용하면 되는데, 난폭운전 신고하겠다고 하면
서울경찰청 번호를 알려줍니다.

서울지방경찰청 신고전화 번호는 02-700-5010 입니다. 난폭운전 신고는 여기로 바로 하면 됩니다.

제대로 접수되고 처리되면 경찰서로 이관되고 얼마 있다가 담당 경찰관한테 전화가 옵니다.

'당시 운전기사가 모든 잘못 인정하고 사과하겠다고 하는데 통화해보실 생각이 있느냐'
라고 하시길래..

'그럴 생각까지는 없고 앞으로는 자전거도 배려해주시고 더욱 안전운전 해달라고 말씀드려달라'
고만 했습니다.

제가 뜻을 굽히지 않고 처벌을 원한다고 하면 벌점 부과되고 버스운전 등 직업적인 부분에도 문제가
생길 거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그래서 그냥 주의 정도만 원한다고 진술서를 적어서 팩스로 넣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이동네 다니는 마을버스에게는 어떠한 위협운전도 당한 적이 없습니다.

적어도 '자전거 건드리면 어떻게 된다더라'라는 정도의 소문은 났겠지요.


처음 자출 시작할 때는 버스들도 위협 많이 하고 그랬는데 요즘은 버스나 택시들은 꽤 얌전합니다.
건드려봐야 귀찮거나 혹은 말썽만 생길 뿐이고, 그냥 보호하고 배려하는 게 낫다는 분위기가 된 거 같습니다.

요즘은 버스정류장을 지날 때 뒤를 돌아보면 버스가 조용히 뒤를 따라오다가 제가 지나고 난 뒤 정차하는 걸
자주 봅니다. 예전같이 빵빵거리지도 않더군요. 저도 요즘은 뒤에 버스가 있으면 손 한번 들어주고

ㅍㅍ댄싱 한번 쳐서 인사치레 해드립니다.





3줄 요약.

- 현장에서 시비하지 말고 재빨리 폰으로 찍고 현장 뜨세요.

- 서울경찰청 02-700-5010 에 전화하시고 느긋하게 처리하세요.

- 도로교통문화는 시간을 두고 천천히 개선될 겁니다.


Posted by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