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야기2017. 2. 22. 21:19

2019년 6월 현재 코다크롬 필름 현상 서비스는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옵니다. 시험적으로 현상에 성공했었는데 상업적 서비스에는 문제가 있었거나, 혹은 실제 현상에 성공하지 못했었을 수도 있네요. (그 이후 저는 아직 여기서 현상받았다는 필름을 본 적이 없습니다.) 아쉽네요.



코다크롬(Kodachrome) 필름이 다시 현상 가능해지다


전통적으로 사진술(photography)는 필름(혹은 그 옛날에는 유리판 등)에 역상(negative)을 만들어 그것을 인화지에 대고 노광을 줌으로써 종이에 완성된 사진을 얻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필름 자체로 역상이 아닌 정상의 상을 얻도록 현상할 수 있게 한 방법이 있었으니 그래서 네거티브가 아닌 포지티브(positive) 혹은 리버설(reversal) 이라고 부르는 필름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슬라이드' 필름이었고 그것은 필름 자체만으로도 눈으로 볼 수 있는 정상의 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슬라이드 필름에는 내식 필름과 외식 필름의 두 가지가 있었는데, 아직까지도 구입하고 사용해볼 수 있는 슬라이드 필름들은 모두 내식(발색유제가 필름에 있는)이고 코다크롬이라고 불리는 필름이 바로 외식(발색유제가 현상액에 있는) 필름이었습니다. 외식필름은 그래서 더 감광특성이 좋아 많은 이들이 사랑했었다고 합니다. 물론 내식 필름도 기술의 발전으로 외식 못지 않은 품질을 보여주게 되었습니다만. 내식 필름은 흔히 엑타크롬(Ektachrome)이라고 부르는 그 방식이고, 코닥의 엑타크롬 뿐만아니라 후지필름이나 그밖의 메이커들이 만들어 내놓는 E-6 현상 방식의 모든 필름이 다 엑타크롬입니다.




코다크롬 필름은 매우 복잡한 K-14라는 방식의 현상과정을 거치는데, 그래서 아무 곳에서나 현상하지 못하고 코닥이 지정한 현상소에서만 거의 현상 가능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88올림픽을 전후해서 주로 기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코다크롬을 현상하는 현상소가 있었지만 올림픽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중단했었습니다. 그 후에는 일본, 미국 등에서 현상가능했었는데, 코닥은 경영이 악화되던 그 무렵, 2009년에 코다크롬 필름의 생산을 중단했고 이듬해 2010년에 현상까지 종료했습니다.


마지막 코다크롬 필름들을 사진가 스티브 맥커리가 촬영했다는 얘기도 유명하죠. 하지만 코다크롬으로 촬영된 진짜 마지막 컷은 코다크롬 현상소였던 미국의 Dwayne's Photo의 직원들이 단체로 촬영한 컷이었다고 합니다.


케이채님의 블로그에 자세한 이야기가 쓰여 있네요.


그리고나서 2012년에는 코닥은 자신들이 생산하던 엑타크롬 방식의 슬라이드였던 E100VS와 E100G까지 생산을 중단합니다. 많은 분들이 충격에 빠졌었죠.


그로부터 5년 후, 코다크롬 현상이 종료된 지 거의 만 6년 후, 코닥은 필름사진의 새물결을 확인하고 엑타크롬 필름의 재생산을 발표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그것뿐만이 아니라 시장 상황에 따라 코다크롬 필름도 다시 만들어볼까 어쩔까 한다는 의향까지 흘리기도 했습니다. 만일 코닥이 코다크롬 필름까지 다시 생산한다면 누군가 어디선가 지정된 현상소가 다시 K-14 프로세스를 처리한다는 이야기가 되고, 미처 사용하지 못하고 냉장고에 잠들어 있던 전 세계의 코다크롬 필름들이 다시 촬영되고 현상될 수 있겠지요.


그런데...


코닥이 지정하지 않았지만, K-14 역시 필름을 현상하는 과정이고 화학 약품들로 이루어진 프로세스였기에 도전하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작년께에는 호주에선가 코다크롬 필름의 컬러현상에 성공했다고 하는 분의 페이스북 포스팅이 화제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이었기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필름을 받아 현상해주는 일을 하기는 어려웠던 모양입니다. 물론 품질도 완벽하지 않았을 수도 있구요.


다른 분들도 이런 연구를 계속 했던 모양입니다. 


급기야 올해 1월 25일쯤에 '코다크롬 필름의 컬러현상에 성공했고, 여러분들의 필름도 현상해드리겠다'는 발표를 미국의 개인 현상소에서 포스팅합니다. 'Piratelogy Studio'라는 타이틀을 달고 Etsy.com 에 입점해 있는 개인(으로 보이는) 분입니다. 클래식 카메라들이나 빈티지 스트랩, 기타 물건 등을 판매도 해 온 분이었고 코다크롬 필름의 현상에 성공해서 다른 분들을 위해 서비스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한 롤 현상하는 데 $25라고 합니다. 그 희귀성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비싸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한국으로 배송해주는 데에는 26불 가량이라고 나오네요. Kodachrome 25, 64와 200을 현상할 수 있으며 135와 120/220 필름을 처리 가능하고 8mm나 16mm등의 영화용 필름들은 안된다고 합니다. 


Etsy.com의 Piratelogy Studio의 코다크롬 현상서비스 페이지에 들어가서 원하는 수량만큼을 결제하면 필름을 보낼 주소를 알려준다고 합니다. 몇몇 샘플 컷들도 이 페이지에 올라와 있네요.


미국의 어디일테니까 보내는 데 드는 비용, 현상료, 반송비용까지 고려하면 대략 일단 한 롤 현상하는 데에 7만원 이상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입니다. 롤당 3만원씩 더 들겠구요. 기간은 2~3주 정도는 생각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코다크롬을 컬러 슬라이드로 현상할 수 있다는 데에야..


여러분의 코다크롬 필름들의 행운을 빕니다.


(어쩌면 나중에 언제가 될 지 모르는 그 나중에 코닥이 다시 코다크롬을 현상해준다고 할 때까지 기다리시든가요)


Posted by 이루"
사진이야기2017. 2. 11. 15:01

이루의 필름으로 찍는 사진, 2016년 개정판



10년 전인 2007년 가을에 어쩌다 '이루의 필름으로 찍는 사진'이라는 책을 내게 됐었습니다. 그래도 꽤 많은 분들께 좋은 반응을 얻어서 2011년에는 1권에서 미처 못했던 얘기들을 모아 2권을 내기도 했었죠.


그러다가 여러 해가 지나 1권은 품절이 되고 절판이 되어 더는 발매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10년이 훌쩍 흘러버렸습니다. 필름사진은 워낙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고 시대에 따라 그다지 변할 것도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정리하고 따져보니 엄청나게 많은 것들이 변해 있더군요.


그래서 작년 8월에 '이루의 필름으로 찍는 사진' 1권의 개정판을 새로 발매했었습니다. 이미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명 서점가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2016년을 기준으로 필름사진을 즐기는 시대적 방법에 대해 많은 부분을 고쳐 썼습니다. 책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했던 점도 판형을 고쳐 개선했구요.


코닥에서도 새로이 여러 필름들을 다시 내놓는다고 하고, 이 시대에 새로 필름사진을 시작하시는 분들도 많이 보이고, 그래서 디지털과 모바일, 스마트폰 시대에는 필름사진을 어떻게 즐길 것인가 하는 부분까지 다루어보았습니다.


막상 제 블로그에는 이 책과 관련된 포스팅이 없었길래 한번 올려놓습니다.


책값은 정가 18,000원인데 약간 할인해서 구매 가능한 듯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무료현상스캔, 슬라이드는 할인쿠폰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책값의 절반 이상은 뽑으실 듯합니다. ^^;



Posted by 이루"
사진이야기2017. 2. 5. 10:39

"스캔은 6메가로 나옵니다"


자가스캔하시면서는 주로 dpi만 생각했었는데 업소에 맡길 때 어느 정도 크기로 스캔해주느냐고 물으면 이렇게 답변을 듣고는 합니다.  5메가로 나온다는 곳도 있고 그렇죠. '메가'는 물론 MB, 메가바이트를 얘기합니다.


가상드럼(이마콘) 스캔 같은 경우는 50메가, 100메가... 기가라면서 용량당 가격을 받기도 합니다. 그럼 이 용량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고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


일단 중요한 결론을 하나 먼저 얘기하자면 이 용량은 파일 탐색기나 파인더에서 보이는 "jpg 파일의 크기"는 아니라는 겁니다.


jpg 파일은 jpeg 이미지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입니다. 6메가니 5메가니 하는 용량으로 해준다고 했는데 집에 와서 열어보니 고작 몇백 KB 밖에 안 되는 파일 크기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너무한다거나 사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서로 생각하는 이미지의 크기 단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6MB는 이미지의 비트맵(bitmap) 사이즈를 얘기합니다. 주로 '포토샵에서 열었을 때 이미지 사이즈다'라고들 얘기합니다.



포토샵에서 1818x1228 픽셀짜리 이미지를 하나 열어본 화면입니다. 이 이미지는 필름을 스캔한 것이고 많은 현상소에서 '6MB'라고 얘기하는 사이즈입니다. 이 이미지의 jpg 크기는 432KB밖에 안 됩니다. 


6MB와 432KB의 차이는 압축에서 옵니다. 이 이미지를 포토샵에서 열면 위에서 보이는 것처럼 Doc: 6.39M 라고 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미지의 비트맵 사이즈입니다.


이 비트맵 사이즈는 이렇게 결정됩니다.


가로픽셀수 x 세로픽셀수 x 채널(픽셀당바이트수)


Channels: 3(RGB Color, 8bpc) 라고 적혀 있는 것은 이미지의 구성이 3개의 채널로 되어 있고 RGB(Red, Green, Blue)의 3색이고 채널당 8비트라는 의미입니다. 한 픽셀이 빨강 8비트, 녹색 8비트, 파랑 8비트의 24비트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니까 비트맵의 가로세로 크기는 1818x1228 = 2,232,504 픽셀이고 약 223만 화소(pixels)가 됩니다.


이게 픽셀당 24비트, 즉 3바이트이니까 1818x1228x3 = 6,697,512 바이트가 됩니다.


이것을 메가바이트로 환산하면 1MB는 1,000,000바이트가 아니고 실제로는 1024x1024 바이트이기때문에 포토샵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6.387MB 가 됩니다.


즉, 이미지의 비트맵 용량은 압축하고 난 뒤의 jpg 파일의 크기가 아니고 가로세로 픽셀수와 픽셀당 비트뎁스(bit depth)로 이루어집니다.


복잡하고 거친 패턴이 많은 이미지는 압축이 잘 안돼서 같은 jpg 파일이어도 크기가 크고 단순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는 압축이 잘 돼서 훨씬 더 작은 jpg 사이즈를 가집니다. 또 jpg는 압축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이 압축하느냐 덜 압축하느냐에 따라 같은 이미지라고 하더라도 용량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6MB의 스캔은 '가로세로 1818x1228 픽셀의 8비트 jpg로 스캔해줌'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 거죠.


Resolution: 72 pixels/inch 라고 되어 있는 것은 이미지가 화면용 메타데이터로 설정돼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많은 모니터들의 도트 피치(도트당 간격)이 72 dpi 정도이기때문에 이렇게 설정해두는 것인데, 이것을 간혹 스캔 해상도라고 생각하고 왜 72밖에 안 되느냐는 의문을 갖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것은 36x24mm의 크기를 갖는 필름을 72dpi로 읽어들인다는 의미가 절대로 아닙니다.


36x24mm는 인치로 환산하자면 1.417 x 0.944 인치입니다. 이것을 72dpi(인치당 72 dot)로 읽어들였다면 결과물은 고작 1.417x72 = 102, 0.944x72 = 68, 즉 102x68 픽셀의 크기밖에 안 됩니다. 이럴 수는 없죠.


1818x1228 픽셀의 이미지는 1818/1.417 = 1282 즉 1280 dpi 정도의 해상도로 읽어들인 것입니다. 72 dpi는 이미지의 EXIF에 기록해두는 '메타데이터'일 뿐입니다. 스캐너에 따라 메타데이터가 전혀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300dpi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가로세로 크기와 비트뎁스, 그리고 이미지의 실제 해상력과 픽셀마다의 계조가 진짜로 중요한 것이죠. 폰 카메라에서 천만화소라고 하는 것과 DSLR에서 천만화소라고 하는 이미지의 화질 차이 같은 것입니다.


'5MB로 스캔된다'고 하는 곳도 있을텐데 아마도 그쪽의 장비에서 나오는 기본 해상도의 비트맵 사이즈가 5MB인 모양입니다. jpg가 5MB라는 것은 무척 큰 이미지라는 얘기입니다. 5MB짜리 jpg가 있다면 포토샵에서 열어보세요. 비트맵 사이즈는 그것보다 열 배 이상 클 겁니다. 아마도 한 쪽 변이 5천픽셀도 넘어야 할텐데 이렇게 큰 이미지로 스캔을 해주면서 'jpg로는 5MB이다'라고 얘기했을리는 없을 겁니다. 그리고 그런 이미지들이 균일하게 5.0MB이지는 않을테고 이미지의 복잡도에 따라 사이즈가 꽤 차이가 날 겁니다.


압축을 하면 화질에 미묘한 손실이 있기 때문에 초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어낼 때는 비압축방식으로 된 TIFF 포맷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마콘으로 스캔받은 이미지의 TIFF는 탐색기에서 보아도 그 용량으로 보이곤 합니다. jpg로 저장하면 용량이 확 줄지요. 같은 가로세로 크기의 이미지라도 흑백의 경우 용량이 더 작은 이유도 그런 것입니다.


집에서 스캔하시면서 4000dpi로 설정하면 얼마의 용량으로 스캔하게 되는 걸까 계산을 해볼까요?


(1.417x0.944)x4000 = 5668x3776 픽셀이고 24비트라면 64MB 가량이 됩니다. 이것을 jpg로 저장하면 컷당 5~8MB 가량의 용량이 나올 것으로 보이네요.



이해가 안되셨다면 찬찬히 다시 읽어봐주세요.. 숫자놀음은 역시 머리아픈 것입니다. ㅎ



Posted by 이루"